Problems & Answers
다음은 고전 텔루구어 동사 형태와 그 한국어 번역이다. 아라순나란 텔루구어의 발음 부호로, 선행 모음의 비음화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더 이상 발음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어민들은 아라순나가 어디에 적혀야 하는지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 문제에서는 아라순나를 모음 위의 물결표로 나타내었다. X는 해당 동사 형태가 어떠한 주어든 가질 수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1. |
koṭṭucunnā̃ḍu |
그가 때리고 있다. |
2. |
teliyãjēyucunnāmā |
우리가 (그것을) 알려지게 하고 있는가? |
3. |
cēsināvu |
네가 했다. |
4. |
koṭṭināru |
너희가 (그것을) 때렸다. |
5. |
nākavalayunu |
X가 핥아야 한다. |
6. |
aṇãgināru |
너희가 억눌렸다. |
7. |
rāvalayunu |
X가 와야 한다. |
8. |
kūḍarādu |
X가 만나면 안 된다. |
9. |
teliyu |
알려지다 |
10. |
vaccucunnānu |
내가 오고 있다. |
11. |
cā̃pãgalanā |
내가 (그것을) 늘릴 수 있는가? |
12. |
vā̃gãgaladu |
그것이 소리 낼 수 있다. |
13. |
nākãgūḍadu |
X가 (그것을) 핥아서는 안 된다. |
14. |
rā̃ju |
불타다 |
(a) 비모음을 표시하여라(총 다섯 개):
15. |
valasināmu |
우리가 바라졌다. |
16. |
rājaniccinānu |
내가 (그것을) 불타게 두었다. |
17. |
vāyiñcucunnavi |
그것들이 (그것을) 소리 내게 하고 있다. |
18. |
rāgalaḍu |
그가 올 수 있다. |
19. |
aṇagavalayunā |
X가 억눌려야 하는가? |
20. |
tākavaccunu |
X가 (그것을) 만져도 된다. |
21. |
maṟalu |
뒤돌다 |
15. valasināmu
16. rājaniccinānu
17. vāyiñcucunnavi
18. rāgalaḍu
19. aṇagavalayunā
20. tākavaccunu
21. maṟalu
(b) 비모음을 표시하고 한국어로 번역하여라: 이중 하나는 두 가지 번역이 가능하다. 모두 제시하여라.
22. cāpinadi
23. iccucunnāḍu
24. vāgavaccunā
25. cēyagalavu
(c) 아라순나를 사용하여 텔루구어로 번역하여라:
26. X가 바라져서는 안 된다.
27. 그가 (그것이) 오게 두고 있는가?
28. 너희가 소리 내고 있다.
29. 그것이 주었다.
(!) 텔루구어는 인도 텔랑가나주 및 안드라프라데시주 등지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한다. 고전 텔루구어 또는 그란디카 바샤는 11세기에서 20세기까지 텔루구어의 글말 형태였다. 모음 위의 가로줄(예컨대, ā)은 길게 발음한다는(장모음) 뜻이다. 자음 아래의 점(예컨대, ṭ)은 혀를 뒤로 구부려 발음한다는(권설음) 뜻이다. ṟ은 스페인어 perro의 rr과 같이 혀를 굴려 발음한다. c는 영어 church의 ch와 같이, ñ은 영어 canyon의 ny와 같이 발음된다.
— 디라지 포타프라가다
차트어 화자 '천'은 딸의 결혼식을 앞두고 대표적인 요리 sai³³ ɲa²⁴ ʔu³³가 들어가는 결혼식 잔치상을 차리고자 한다. 이 요리를 하기 위해서 그녀는 필요한 식재료를 사러 시장에 간다. 다음은 그녀의 장바구니 목록에 오른 식재료를 차트어로 나타낸 것(왼쪽)과 그 한국어 번역을 순서에 상관없이 나열한 것(오른쪽)이다.
1. |
ɲa24 ta24 |
2. |
ʔia33 ni33 |
3. |
na:ŋ33 |
4. |
ʔia33 ta24 |
5. |
phia11 ti55 |
6. |
sa33 phai11 |
7. |
pa:iʔ32 ti55 |
8. |
ʔia33 phia11 |
9. |
ʔianʔ32 ɲa24 |
10. |
pa:iʔ32 phai11 |
11. |
ʔianʔ32 ta24 |
12. |
sai33 |
13. |
ɲa24 mo33 |
A. |
백주 |
B. |
버터 |
C. |
백미 |
D. |
쌀밥 |
E. |
말린 고구마 |
F. |
꿀 |
G. |
유채 |
H. |
두유 |
I. |
콩기름 |
J. |
콩나물 |
K. |
미음(물에 쌀을 넣고 끓인 것) |
L. |
빈랑자 |
M. |
고구마술 |
(a) 알맞게 짝지어라.
1. ɲa²⁴ ta²⁴
2. ʔia³³ ni³³
3. na:ŋ³³
4. ʔia³³ ta²⁴
5. phia¹¹ ti⁵⁵
6. sa³³ phai¹¹
7. pa:iʔ³² ti⁵⁵
8. ʔia³³ phia¹¹
9. ʔianʔ³² ɲa²⁴
10. pa:iʔ³² phai¹¹
11. ʔianʔ³² ta²⁴
12. sai³³
13. ɲa²⁴ mo³³
(b) tha:n¹¹이 설탕이라는 사실을 참고하여, 다음 차트어 단어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라:
14. ta²⁴
15. pa:iʔ³²
16. tha:n¹¹ ti⁵⁵
17. ɲa²⁴ ʔianʔ³²
(c) sai³³ ɲa²⁴ ʔu³³의 재료 중에는 코코넛이 있다. 이를 참고하여 해당 음식의 이름을 직역하여라.
(!) 차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중국 하이난성 싼야시에서 약 4500 명의 후이후이인이 사용한다. ph, th, ʔ, ɲ 는 자음이다. : 는 모음이 길게 발음됨(장모음)을 표시한 것이다. ⁵⁵, ³³, ¹¹, ²⁴, ³² 는 성조 표시이다.
백주(白酒, '흰 술')은 무색의 주류이다. 빈랑자는 전통 혼례에서 흔히 섭취되며, 보통 다른 첨가물 없이 그대로 씹어 먹는다. 유채는 기름을 짜는 데에 주로 쓰이는 식물이다.
— 웡 턱 싱 헨리
다음은 마디어 문장들과 그 한국어 번역이다. 별표 사이에 있는 단어에는 초점이 놓여 있다.
- ebi kɔtʃa sukuru ga
물고기가 학교에 도착한다. - ɔpɨ ʔa mva ɔɗɨ ma nɨ
족장의 아이가 나를 위해 그것을 요리했다. - ka ɓɔŋgʊ li lʌpwoɲi nɨ aʊ
그가 선생을 위해 *옷을* 자른다. - ma mu sukuru ga
내가 학교에 간다. / 내가 학교에 갔다. - ka mva ʔa dʒɔ si kɨ ama nɨ aʊ
그들이 우리를 위해 *아이의 집을* 짓는다. - lʌpwoɲi koliʌ aʊ
선생이 *그것을* 자른다. - ma dʒɨa
내가 그것을 데려간다. - ti komu ma ʔa eɓu ga
소가 나의 일터에 간다. - ʌndzi ɔʧɨ kɨ basɨ sɨ
아이들이 버스 안에서 그것을 깨물었다. - ama tʊ latʊ
우리가 춤췄다. - ti ɔtʊ ama
소가 우리를 밟았다. - mva ɔŋga dʒuɓʌ ga sɨ
아이가 주바에서 떠났다. - agɔ ka ebi ndrɛ kɨ
남자들이 물고기를 본다. - ɔdʒɨ ma dʒuɓʌ ga
그가 주바로 나를 데려간다.
(a) 한국어로 번역하여라:
15. tii ɔʧɨ kɨ ɓɔŋgʊ
16. ama ndrɛ aʊ
17. mva ɔɗɨ ebi ɔpɨ nɨ
18. agɔ ka latʊ tʊ sukuru sɨ
(b) 마디어로 번역하여라:
19. 그들이 우리의 춤을 보았다.
20. 그가 집에서 떠난다.
21. 남자가 *학교를* 짓는다.
22. 내가 물고기를 잘랐다.
(!) 마디어는 중앙수단어족에 속하며, 남수단과 우간다에서 쓰인다. tʃ, dʒ, ʔ, ɲ, ɗ, ɓ 는 마디어의 자음이다. a, ɛ, ɨ, ɔ, ʊ 는 ʌ, e, i, o, u 와 비슷하지만, 혀뿌리를 수축시켜 발음하는 모음이다. 마디어에는 본래 성조가 있으나, 간결성을 위해 생략했다.
주바는 남수단의 수도이다.
— 디라지 포타프라가다
다음은 비표준 철자법으로 나타낸 스와힐리어 단어들이다:
alfadjyry, azubuhy, dakyka, djyony, kazoro, kumy, mbyly, mcana, modja, na, nane, nne, nusu, robo, tano, tatu, tyza, uzyku, yxyryny, zaa, zaba, zyta
이 단어들을 잘 조합하면 분 단위의 시각을 나타낼 수 있다.
아래 양식을 통해 특정한 단어 조합이 표준적인 시간 표현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단어 조합이 유효하다면 양식에 해당 시간 표현이 가리키는 시각이 표시될 것이다. 일부 단어를 별표로 대체할 수 있으며 다른 단어와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어구 안에서 별표를 여러 번 사용할 수도 있으나(* alfadjyry azubuhy *), 별표를 연달아 사용할 수는 없다(alfadjyry * * azubuhy 불가). 별표를 사용하는 경우, 별표를 (각각) 특정 단어나 단어 조합으로 대체하면 유효한 시간 표현이 될 수 있는지가 양식에 표시될 것이다.
(a) 위에서 제시된 모든 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라.
1. alfadjyry
2. azubuhy
3. dakyka
4. djyony
5. kazoro
6. kumy
7. mbyly
8. mcana
9. modja
10. na
11. nane
12. nne
13. nusu
14. robo
15. tano
16. tatu
17. tyza
18. uzyku
19. yxyryny
20. zaa
21. zaba
22. zyta
(b) 주어진 스와힐리어 단어들 중 하나는 나머지 단어들과 차이가 있다. 이 단어가 무엇인지 스와힐리어로 제시하여라.
(!) 스와힐리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 동아프리카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한다.
— 타밀라 크라시탄
The contest is over.
Answer key: hideshow